코로나19 이후 전 세계적으로 비대면 결제 수요가 급증하면서, 각국의 모바일 간편결제 플랫폼이 빠르게 성장했습니다.
카카오페이나 네이버페이처럼 특정 국가에서 압도적 점유율을 자랑하는 서비스부터, 페이팔처럼 글로벌 결제 인프라에 가까운 플랫폼까지, 그 기능과 확장성은 매우 다양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2025년 현재, 해외 사용자들도 많이 활용하고 있는 세계 주요 모바일 결제 서비스를 기능, 사용 범위, 수수료, 외국인 접근성 기준으로 비교해 정리해드립니다.
① 모바일 간편결제 플랫폼 비교표
서비스명 | 주요 국가 | 주요 기능 | 외국인 사용 가능 | 수수료/환율 |
카카오페이 | 한국 | 송금, 결제, 인증서, 공과금 납부 | 제한적 (한국번호·계좌 필요) | 낮음 (국내 결제 한정) |
네이버페이 | 한국 | 쇼핑몰 결제, 간편송금 | 제한적 | 낮음 |
페이팔(PayPal) | 글로벌 | 해외 결제, 송금, 구독관리 | 가능 (여권·카드만으로 가입 가능) | 다소 높음 (환율 포함 수수료 2~4%) |
GCash | 필리핀 | 모바일 송금, 공과금 납부, QR 결제 | 가능 (현지 번호 필요) | 낮음 (내국인 전용 요금 제외) |
Alipay | 중국 | QR 결제, 위챗 연동, 송금 | 일부 외국인 가능 (투어리스트 모드) | 매우 낮음 (위안화 결제 기준) |
WeChat Pay | 중국 | 송금, 쇼핑, 결제 | 외국인 등록 허용 | 낮음 |
Apple Pay | 글로벌 | iPhone 기반 오프라인 결제 | 가능 (카드 연동 필수) | 카드사 기준 수수료 적용 |
Google Pay | 글로벌 | 안드로이드 기반 간편결제 | 가능 | 카드사 기준 |
② 주요 기능별 비교
항목 | 카카오페이 | 페이팔 | GCash | Alipay |
외화 결제 | 불가 | 가능 | 일부 가능 | 가능 |
해외 송금 | 불가 | 가능 | 필리핀 내 가능 | 제한적 |
인증기능 | 있음 (전자서명 등) | 없음 | 없음 | 없음 |
가입 난이도 | 높음 (본인인증 필요) | 쉬움 | 쉬움 | 중간 (외국인용 별도) |
온라인 쇼핑 연동 | 국내 위주 | 글로벌 | 필리핀 | 중국 내 거의 전부 |
③ 선택 시 고려할 점
- 외국인도 사용 가능한지 (전화번호·계좌·신분증 요구 여부)
- 해외 결제 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는지 (달러/유로/현지 통화)
- 송금 기능이 있는지 (해외 송금/로컬 송금 여부)
- 환율 수수료 및 결제 수수료 구조
- 플랫폼 내에서 통합 금융 서비스(저축, 대출, 결제 등) 제공 여부
④ 실제 사용자 사례
"필리핀 워홀 중인데 GCash 하나면 Grab, 마트, 식당 다 결제돼서 편해요. 앱도 영어로 나와서 어렵지 않았어요."
"페이팔은 해외직구용으로 계속 사용 중이에요. 다만 환율 포함 수수료가 조금 아쉽긴 합니다."
"중국 출장 시 Alipay 투어리스트 모드를 써봤는데, 위챗페이보다 외국인 접근성이 나았어요. QR 결제도 빠르고, 대부분 가게에서 가능했어요."
모바일 간편결제는 이제 단순한 지불 수단을 넘어, 현지 생활의 필수 인프라가 되었습니다.
해외 체류 시에는 해당 국가의 대표 간편결제를 하나쯤 연동해두는 것이 실질적인 생활비 절감과 소비 편의성 확보에 매우 유리합니다.
단기 체류자라면 페이팔이나 Apple/Google Pay처럼 범용성을, 장기 체류자라면 GCash, Alipay처럼 현지 기반 서비스를 활용하는 것이 효율적입니다.